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통신사 통합 POC 구축 프로젝트 – 제3자 테스트 수행 사례

 1. 서론

안녕하세요. 오늘의 포스팅 주제는 통신사 서비스의 분산된(온-오프-모바일) 마케팅 채널의 연계/통합을 위한 제3자 테스트 수행 사례이며 테스트 목표는 개별 마케팅 채널 POC에 대한 통합 및 정비, 모바일 웹 구축을 통한 대 고객 서비스 채널의 일관된 서비스의 접근성 강화, 접근 채널 다변화를 통한 고객중심 서비스 통합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본 프로젝트에서 진행한 제3자 테스트 수행 사례를 통하여 통신사의 POC 통합을 위한 각 시스템의 구성 및 주요 서비스, 테스트 중점 사항에 대하여 소개해 드리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2. 테스트 대상 및 범위

해당 사업의 테스트 대상 시스템은 마케팅 통합 POC(통합 프로모션, 캠페인, 이벤트/오퍼링, 검색/고객센터), 서비스 연계/통합(요금제/부가서비스, 상품/구매/배송, 멤버십/혜택/쇼핑, 로밍 정보/상품), 연동 시스템(ICAS, IMAS, SMS 등) 등 총 3개의 서비스 영역이 제3자 주요 테스트 대상이며 아래 4개의 내용이 주요 테스트 범위입니다.

(1) 개별 마케팅 POC 통합/정비

① S사의 마케팅 POC 통합

- 기존 마케팅 채널에 대한 서비스 체계 통합(다이렉트, 멤버십, 로밍 서비스)

② 고객 Behavior 기반 사용 편의성 극대화

- 각 서브 채널간 정보 접근 및 구매 단계 연계 개선

③ 전 상품/서비스 영역의 일관된 Identity 제공

- 서브 채널간 UI/UX 개편을 통한 통합적/유기적 정보 제공

(2) 통합 POC 모바일 Web 서비스 개선

① 모바일 Web 환경에 최적화된 통합 POC 서비스 개선

- 마케팅 상품/서비스의 모바일 기반 외부 검색 대응 체계 강화

② 모바일 접근 사용자 증대에 따른 고객 행동 기반 대응 채널 구축

(3) 마케팅 기능 강화

① 다이렉트 서비스 중심의 POC 연동을 통한 Shop Identity 강화

- 다이렉트 서비스 중심의 단말/요금/혜택/프로모션 연계를 통한 Shop Identity 강화

② 방문자 통계(UV)기반의 안정적 온라인 매출 지원 체계 수립

(4) 과학적 타켓팅/오퍼링 제공

① 마케팅 우선순위/통계/데이터 일원화를 통한 유효 방문자 증대

- 채널별 마케팅/통계 등의 고도화/일원화를 통한 방문자 수요 중심 마케팅 전환

② 방문자 웹 행동 기반 마케팅 타켓 정교화

- 고객 회선 정보, 방문자 웹 행동 패턴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 타켓

<그림 1 테스트 대상 및 수행 범위>

3. 테스트 현안 및 고려사항

통합 마케팅 POC의 성공적인 오픈 및 서비스 안정화를 위하여 업무 특성을 반영한 테스트 전략을 수립하고 최종 품질을 확보합니다.

① 개발 물량 대비 짧은 개발 기간 및 다양한 테스트 매체

② Big bang 방식 POC 통합 구현으로 As-is vs To-Be 누락 여부 검증 필요

③ 복합 시나리오 도출을 통한 테스트 커버리지 확대

④ 내ᆞ외부 시스템간 인터페이스(As-Is) 분석 및 누락 여부 확인

4. 테스트 레벨에 따른 전략

제3자 테스트는 단위 테스트, 통합 테스트, 최종 점검 테스트(현업과 협업)의 3단계로 수행되었으며 각 테스트 레벨에 따른 테스트 전략을 수립하고 각 POC 별로 비즈니스 관점에서 요구 사항과 비즈니스 로직, 각 POC별 연계 서비스, 서비스 통합이 정확하게 수행이 되는지 중점적으로 테스트를 수행합니다.

특히 각 POC별 신규 개발 서비스 및 기존 서비스와의 통합, 비즈니스 로직과 예외 사항을 포함한 모든 요구사항이 명확하게 반영이 되고 각 POC에 대한 테스트시나리오/케이스 (예외 케이스 포함)를 도출하여 비즈니스 로직 중심의 시나리오 및 경험 기반의 제3자 테스트를 통한 서비스 품질 확보와 안정적인 서비스 오픈입니다.

(1) 단위 테스트

화면 설계서(SB) 기반의 단위 화면(배치/보고서) 기능에 대한 기존 및 신규 개발 서비스 단위 기능 중심의 테스트를 수행하며 기본 단위 기능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테스트를 수행합니다.

① 단위 화면(배치/보고서) 기능 테스트

② 타 시스템 연동(I/F) 기능 테스트

③ PC / Mobile Browser 유형별 검증

④ 단위 화면 기능 테스트(신규 개발 서비스)

(2) 통합 테스트

비즈니스 관점에서 통합 테스트 시나리오를 도출하고 각각의 POC별 기능(기존/개선/신규개발)이 통합되고 비즈니스 로직에 따라 정확하게 동작하는지 중점적으로 테스트 하며 통합 테스트 시나리오를 통하여 각 POC별 기본 및 신규 서비스 통합 기능, 비즈니스 로직, 상호 연계 서비스를 중점적으로 테스트합니다.

① 모바일 Web 환경에 최적화된 통합 POC 서비스 신규 구축

② 모바일 접근 사용자 증대에 따른 고객 행동 기반 대응 채널 구축

③ 복합 테스트 시나리오 도출을 통한 테스트 커버리지 확대

④ 테스트 설계 도구를 통한 테스트 시나리오/케이스 작성 및 버전 관리

(3) 최종 점검 테스트

현업 및 서비스 운영 담당자 별로 각 해당 업무에 대하여 집중적인 테스트 수행 및 이행 점검 수행, 비즈니스 관점에서 각 POC별 기능(기존/개선/신규개발) 통합 및 연계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수행되는지 중점적으로 테스트합니다.

5. 테스트 시나리오 설계

테스트 커버리지와 고객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서비스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테스트 시나리오/케이스 도출이 중요하며 추가로 경험 기반의 시나리오 도출을 통하여 고객이 원하는 비즈니스 로직에 대한 통합적인 테스트가 가능합니다.

이번 제3자 테스트는 특히 상품/멤버십 등에 대한 복합시나리오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설계를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해당 업무 담당자와의 협업을 통하여 최종 점검 테스트 수행 후 안정적인 서비스 품질을 확보할 수 있었습니다.

(1) 통합 테스트 시나리오 설계 방안

각 서비스 모듈 별로 작성된 Storyboard를 기반으로 회원 권한 및 상품을 조합하여 통합 테스트 시나리오/케이스를 도출하고 시나리오를 설계하여 테스트 커버리지를 확보합니다.

<그림 2 통합 테스트 시나리오 설계 방안>

(2) 통합 테스트 시나리오 설계 – 상품 서브 메인

테스트 시나리오는 통합 POC 화면 명세서의 모듈 기준 Level 3 단위로 작성합니다.

<그림 3 통합 테스트 시나리오 설계 방안>

(3) 통합 테스트 시나리오 설계 – 상품 혜택 서비스

통합 POC 화면 명세서의 PC > 상품 > 혜택 > 할인 혜택 > 요금할인혜택/약정 할인 프로그램> 서비스 신청/해지의 Level 단위 기준으로 작성합니다.

<그림 4 통합 테스트 시나리오 설계-상품 혜택 서비스>

(4) 통합 테스트 시나리오 설계 – Test Manager 도구 적용

프로젝트 사업부에서 제공한 Test Manager 도구를 사용하여 시나리오를 작성하고 테스트 수행 및 결과보고, 통합 테스트 차수 별로 시나리오 버전 관리 등을 효율적으로 수행합니다.

<그림 5 Test Manager 도구를 통한 통합 테스트 시나리오 작성>

6. 테스트 수행 결과

전체적으로 개발이 지연 되어 단위 테스트 시간을 많이 소요하게 되어 통합 테스트는 3차수 정도 밖에 진행을 하지 못하였지만, 단위 테스트 수행 시 이슈를 최대한 조치하여 통합 테스트를 통하여 주요 이슈를 해결하고 안정적으로 서비스 오픈을 수행합니다.

<그림 6 제3자 테스트 수행 결과>

7. 결함 현황 분석

제3자 테스트 결과에 대한 결함은 서비스 및 시스템에 치명적인 장애를 유발하는 이슈 별로 우선 조치 후 현업과 협업하여 최종 수정 확인 테스트를 통하여 최종 반영하였으며 프로젝트 기간 내에 조치가 불가한 이슈는 고객과 협의하여 Closed 처리합니다.

<그림 7 제3자 테스트 결함 현황>

8. 결론 및 시사점

해당 프로젝트를 통하여 통신사 서비스 및 시스템에 대하여 다양하게 경험하게 되었고 각 POC별 서비스 통합 및 연계, 다양한 서비스 상품에 대한 권한별 비즈니스 시나리오 설계의 중요성과 경험 기반의 테스트 수행 경험 등 제3자 테스트를 통한 서비스 품질 확보의 중요성에 대하여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무엇보다 업무 담당 현업과의 협업을 통한 테스트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인지하고 그에 따른 서비스 품질을 확보한 것이 좋은 경험이었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댓글